식품안전관련 글로벌 동향파악을 위한 통계자료입니다.
등록일 | (미)생물 | 화학물질 | 식품첨가물 | 표시_광고 | 기타 | |
---|---|---|---|---|---|---|
합 | 188 | 130 | 78 | 46 | 94 | |
2011년 | 1분기 | 4 | 6 | 10 | 8 | 4 |
2분기 | 18 | 20 | 9 | 1 | 3 | |
3분기 | 12 | 17 | 10 | 6 | 7 | |
4분기 | 40 | 10 | 3 | 8 | 12 | |
2012년 | 1분기 | 13 | 23 | 9 | 5 | 20 |
2분기 | 24 | 22 | 14 | 8 | 15 | |
3분기 | 31 | 11 | 9 | 8 | 11 | |
4분기 | 46 | 21 | 4 | 6 | 28 |
등록일 | (미)생물 | 화학물질 | 식품첨가물 | 표시_광고 | 기타 | |
---|---|---|---|---|---|---|
합 | 175 | 131 | 81 | 107 | 2 | |
2011년 | 1분기 | 7 | 23 | 16 | ||
2분기 | 18 | 49 | 10 | |||
3분기 | 31 | 26 | 10 | |||
4분기 | 42 | 11 | 14 | 3 | ||
2012년 | 1분기 | 15 | 39 | 7 | 13 | 1 |
2분기 | 19 | 18 | 16 | 14 | ||
3분기 | 29 | 5 | 4 | 25 | 2 | |
4분기 | 14 | 8 | 4 | 8 |
등록일 | 가공식품 | 식품첨가물 | 건강기능식품 | 농산물 | 축산물 | 수산물 | 물 | 기구/용기/포장 | |
---|---|---|---|---|---|---|---|---|---|
합 | 1594 | 12 | 142 | 2489 | 445 | 1051 | 19 | 598 | |
2011년 | 1분기 | 326 | 368 | 53 | 125 | 2 | 84 | ||
2분기 | 239 | 296 | 50 | 151 | 6 | 40 | |||
3분기 | 204 | 2 | 215 | 53 | 183 | 4 | 71 | ||
4분기 | 209 | 4 | 9 | 463 | 75 | 194 | 2 | 135 | |
2012년 | 1분기 | 152 | 2 | 25 | 337 | 49 | 88 | 1 | 70 |
2분기 | 178 | 1 | 26 | 323 | 12 | 119 | 1 | 71 | |
3분기 | 196 | 1 | 55 | 236 | 100 | 126 | 3 | 72 | |
4분기 | 90 | 2 | 27 | 251 | 53 | 65 | 55 |
발생일 | (미)생물 | 화학물질 | 식품첨가물 | 표시_광고 | GMO_신규식품(소재) | 기타 | |
---|---|---|---|---|---|---|---|
합 | 2570 | 2294 | 345 | 274 | 135 | 1330 | |
2011년 | 1분기 | 403 | 352 | 72 | 38 | 19 | 169 |
2분기 | 320 | 244 | 55 | 26 | 18 | 176 | |
3분기 | 329 | 213 | 55 | 26 | 18 | 176 | |
4분기 | 429 | 291 | 36 | 33 | 27 | 155 | |
2012년 | 1분기 | 322 | 281 | 35 | 31 | 25 | 137 |
2분기 | 242 | 291 | 36 | 33 | 27 | 155 | |
3분기 | 294 | 316 | 36 | 40 | 7 | 154 | |
4분기 | 231 | 224 | 6 | 24 | 7 | 91 |
정보의 유형별 발생빈도는 위해식품정보, 법제도관련 정보, 사건사고정보, 연구평가 정보 순임
위해식품정보 | 특정식품의 회수, 판매금지, 모니터링 강화 등의 조치 정보(예: 회수, 폐기 등) |
---|---|
법제도정보 | 식약처 등 국내외 국가기관에서 발표하는 법령, 제도, 기준규격 등 제개정 정보 |
연구평가정보 | 학계, 정부 등의 연구기관에서 발표하는 안전성 · 위해성 평가 결과 정보 |
사건사고정보 | 식품 등의 검사결과 등 식품안전 관련 각국의 그 외 사건 · 사고 정보 |
2012년에 비해 위해식품에 대한 정보는 증가한 반면, 법제도에 대한 정보는 감소함
‘위해식품정보’ 15,376건 중 해외 정부기관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한 7,996건의 정보를 분석
식품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주요 원인식품은 가공식품, 농산물, 축산물 순으로 파악됨
위해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주요 원인은 화학적 위해, 생물학적 위해, 표시광고 순임
2013년 수집 국내·외 식품안전정보 총 24,178건 중 파급성, 연관성, 정책성, 화제성, 갈등성 등의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주요 정보 선정 '글로벌 식품안전 동향 보고서' 작성
정보의 구분별 현황은 위해식품정보, 사건사고정보, 법제도관련 정보, 연구평가 정보 순임
위해식품정보 | 특정식품의 회수, 판매금지, 모니터링 강화 등의 조치 정보(예: 회수, 폐기 등) |
---|---|
법제도정보 | 식약처 등 국내외 국가기관에서 발표하는 법령, 제도, 기준규격 등 제개정 정보 |
연구평가정보 | 학계, 정부 등의 연구기관에서 발표하는 안전성 · 위해성 평가 결과 정보 |
사건사고정보 | 식품 등의 검사결과 등 식품안전 관련 각국의 그 외 사건 · 사고 정보 |
2013년에 비해 위해식품에 대한 정보는 감소한 반면, 기타 사건사고에 대한 정보가 증가함
국내외 ‘위해식품정보’(11,152건) 중 해외 정부기관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9,556건)하였으며 이 중 정보의 활용가치가 높은 정보를 선별(4,998건)한 후 재분류 한 9,029건을 최종 분석
식품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주요 원인식품은 가공식품, 농산물, 축산물가공품 순으로 파악됨
위해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주요 원인은 화학적 위해, 생물학적 위해, 표시광고 순임
생산국 | 주요 원인 | ||
---|---|---|---|
중국 | 식품첨가물, 미생물, 기구용기포장 잔류물질 | ||
미국 | 알레르기 미표시, 미생물, 의약품성분 | ||
대만 | 식품첨가물, 위생, 잔류농약 | ||
캐나다 | 알레르기 미표시, 미생물, 이물 | ||
일본 | 잔류농약, 이물, 알레르기 미표시 | ||
프랑스 | 미생물, 잔류농약, 알레르기 미표시 | ||
독일 | 미생물, 이물, 식품첨가물 | ||
베트남 | 동물용의약품, 잔류농약, 미생물 | ||
인도 | 미생물, 곰팡이독소, 잔류농약 | ||
태국 | 잔류농약, 미생물, 식품첨가물 |
2014년 수집 국내·외 식품안전정보 총 24,677건 중 파급성, 연관성, 정책성, 화제성, 갈등성 등의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주요 정보 선정 '글로벌 식품안전 동향 보고서' 작성
정보의 구분별 현황은 사건사고정보, 위해식품정보, 법제도관련 정보, 연구평가 정보 순임
위해식품정보 | 특정식품의 회수, 판매금지, 모니터링 강화 등의 조치 정보(예: 회수, 폐기 등) |
---|---|
법제도정보 | 식약처 등 국내외 국가기관에서 발표하는 법령, 제도, 기준규격 등 제개정 정보 |
연구평가정보 | 학계, 정부 등의 연구기관에서 발표하는 안전성 · 위해성 평가 결과 정보 |
사건사고정보 | 식품안전 관련 각국의 주요사건 · 사고 정보 * 각국의 식품안전 관련 주요 사건 · 사고에 관한 것으로 특정식품과 관련한 '위해식품정보'로 분류되지 않는 정보 |
국내외 ‘위해식품정보’(9,705건) 중 해외 정부기관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한 정보(9,246건) 중 활용가치가 높은 정보를 선별(6,410건)을 선별한 후 '제조사, 식품, 위해요인'을 한 건으로 분리한 정보 10,383건을 분석
식품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주요 원인식품은 가공식품, 농산물, 축산물가공품 순으로 파악됨
위해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주요 원인은 화학적 위해, 생물학적 위해, 표시광고 위반 순임
생산국 | 주요 원인 | ||
---|---|---|---|
중국 | 식품첨가물, 미생물, 영양성분 위반 | ||
미국 | 미생물, 알레르기 미표시, 의약품성분 | ||
일본 | 기구용기포장유래물질, 이물질, 잔류농약 | ||
대만 | 식품첨가물 ,미생물 ,위생 위반 | ||
캐나다 | 미생물, 알레르기 미표시, 이물질 | ||
인도 | 곰팡이독소, 미생물, 잔류농약 | ||
프랑스 | 미생물, 알레르기 미표시, 이물질 | ||
베트남 | 동물용의약품, 미생물, 잔류농약 | ||
터키 | 식품첨가물, 곰팡이독소, 잔류농약 | ||
독일 | 미생물, 알레르기 미표시, 이물질 |
2015년 수집 국내·외 식품안전정보 총 24,329건 중 파급성, 연관성, 정책성, 화제성, 갈등성의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주요 정보를 선정하여 '글로벌 식품안전 동향 보고서' 작성
위해식품정보 | 특정식품의 회수, 판매금지, 모니터링 강화 등의 조치 정보(예: 회수, 폐기 등) |
---|---|
법제도정보 | 식약처 등 국내외 국가기관에서 발표하는 법령, 제도, 기준규격 등 제개정 정보 |
연구평가정보 | 학계, 정부 등의 연구기관에서 발표하는 안전성 · 위해성 평가 결과 정보 |
사건사고정보 | 식품안전 관련 각국의 주요사건 · 사고 정보 * 각국의 식품안전 관련 주요 사건 · 사고에 관한 것으로특정식품과 관련한 '위해식품정보'로 분류되지 않는 정보 |
해외 위해식품정보 중 정부기관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이 발표하고, 기본 항목(제조사, 식품, 위해요인)을 갖춘 정보를 한 건으로 분리하여 총 10,324건을 분석
2016년 해외 위해식품정보의 식품유형별 현황은
기타 가공식품류, 건강식품류, 과자류 순임
2016년 해외 위해식품정보의 위해요인별 현황은
미생물, 알레르기성분 미표시, 식품첨가물 순임
생산국 | 식품유형 | 위해요인 |
---|---|---|
중국 | 기구용기포장 | 기구용기포장유해물질 |
미국 | 기타 가공식품류 | 미생물 |
일본 | 과일류 | 잔류농약 |
캐나다 | 건강식품류 | 의약품성분 |
대만 | 빵 또는 떡류 | 식품첨가물 |
독일 |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 미생물 |
프랑스 |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 미생물 |
터키 | 채소류 | 잔류농약 |
영국 | 과자류 | 알레르기성분 미표시 |
인도 | 기타 식물류 | 미생물 |
2016년 수집 국내외 식품안전정보 총 25,566건 중 다음의 다섯 가지 선정기준을 고려하여 주요 정보 선정